내가 내는 국민연금 언제 받을 수 있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하는 방법과 수령나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직장을 다니는 분들은 대부분 4대 보험을 가입을 하기 때문에 월급의 10% 이상이 4대 보험료로 나가게 되는데 그중에서 4대 보험 중 하나인 국민연금을 언제 받을 수 있고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 조회방법
1. 국민연금공단 사이트를 들어가 줍니다.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2. 카테고리 [자주찾는 민원서비스]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해 줍니다.
3. [예상연금액조회]를 클릭해 줍니다.
4.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해 줍니다.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개인, 퇴직, 주택연금 모두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오른쪽을 눌러줍니다.
5. 사용자 통합로그인에서 로그인 방식을 선택하여 로그인해 줍니다.
저는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 진행하겠습니다.
6. 예상노령연금액(세전) 조회하기
- 4대 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신 분들은 월 0원이라고 나오는 점 참고 바랍니다.
- 현재 소득으로 만 60세까지 납부할 경우 아래와 같은 수령액으로 지급됩니다.
- 다만 상실 또는 납부예외 중인 경우는 현재까지 납부된 내역만으로 예상연금액을 산정합니다.
위에 보면 [현재 가치 예상 연금액]이라는 게 있어요. 현재 적힌 기준은 월 얼마라고 쓰여 있긴 하지만 이게 매년마다 소득이나 물가 같은 게 달라지기 때문에 여기서 금액 차이가 있습니다. 만약에 연봉도 오르고 물가도 오른다면 추가적으로 국민연금까지 계속해서 낸다면 [현재 기준] 이 금액이 계속 올라갈 거예요.
국민연금 수령나이 수급연령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현재는 원래 만 65세이긴 하지만 보이는 것처럼 출생연도에 따라서 수급 시기가 늦춰지고 있고 때문에 달라질 것 같습니다. 조기노령연금이라고 해서 5년을 더 빨리 받는 제도가 있습니다. 근데 이거는 최대 30%까지 삭감이 된다고 하니까 제 생각에는 30%면 좀 세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냥 원래 받을 때 받는 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내가 내고 있는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예상수령액, 수령나이까지 모두 알아보았는데요. 현재 기준과 그때 가서 받는 기준 가격은 차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진 않을 수 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감안하고 궁금하신 분들은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관련글]
실업급여 수령액 계산방법, 지급기간까지 쉽게 알기!
요즘 많이들 찾으시는 게 바로 실업급여인데요. 저도 전에 실업급여를 받아본 경험자로써 오늘은 실업급여를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실수령액과 며칠간 받을 수 있을지 지급기간에 대해서 간단
4.room-corner.com
📌2023년 최저시급 월급계산기, 최저임금 식대 비과세 인상비교
2023년 최저시급 월급계산기, 최저임금 식대 비과세 인상비교
2023년이 시작되면서 직장인뿐만 아니라 사업주 분들까지 임금협상이나 연봉 인상 등에 관심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2023년 임금협상 전에 꼭 확인해 두셔야 할 내용으로 준비했습니다. 소득세
4.room-corner.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53회 로또 1등 당첨번호, 당첨금액 지역확인 수령방법 (0) | 2023.02.04 |
---|---|
1052회 로또 당첨번호 1등 당첨번호, 당첨금액 지역확인 (0) | 2023.01.29 |
실업급여 수령액 계산방법, 지급기간까지 쉽게 알기! (0) | 2023.01.26 |
2023년 최저시급 월급계산기, 최저임금 식대 비과세 인상비교 (0) | 2023.01.25 |